<논평> 언론자유를 회복해 ‘투쟁하는 노동자들’에게도 희망을 주길!
언론노조는 12일 오후, ‘언론장악 심판! 대선 불공정보도 규탄! 언론노조 행동의 날’ 기자회견을 열어 “다가올 대선을 통해 언론장악의 역사를 심판해 달라” 호소했고 “언론자유를 회복해 철탑 위 비정규직들과 같은 사회의 가장 아픈 곳을 언론이 조명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108배를 올렸다.
언론노조의 호소에 공감한다. 언론에서도 민주주의의 마지막 보루는 언론노동자라는 점을 다시 확인한다. 언론노조는 “낙하산 사장을 퇴진시키고 해직 언론인들을 복직시키는 일, 정치권력에 의한 언론장악이 반복되지 않도록 법과 제도를 만드는 일이 언론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한 언론 노동자들의 과제”라고 밝혔다. 언론노조가 언론 민주주의의 회복을 위해 스스로 설정한 과제를 위해 투쟁의 주체로 계속 서 나가길 바란다.
나아가 우리는 MB 정권만이 아니라 지난 20년간의 미디어 정책은 언론 다양성을 저해하고 시장논리에 맞춘 탈규제 독과점 정책으로 언론과 미디어 민주주의를 절체절명의 위기로 몰아갔다고 판단한다. 또한 규제당국인 방송통신위원회는 거대 사업자와 결탁해 국민을 저버려, 언론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왜곡시켜 종국엔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고 본다. 이런 흐름이 MB 정권에서 더욱 파행적인 형태로 들어난 것이다.
따라서 ‘언론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은 18대 대선에서의 심판에 머물지 말고, 표현의 자유와 언론 공정성 회복, 시민 미디어를 활성화하여 다양한 미디어 매체의 공존이 가능한 생태계 확보에 이르기까지 중단없이 진전되어야 한다고 판단한다.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위해 투쟁하는 노동자들이 언론이 ‘질곡’이나 ‘원망’의 대상이 아니라, 희망의 매체가 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
2012년 12월 13일
노동자대통령 선거투쟁본부